-
1분 경제 ㅣ글로벌 사우스 국가는 뭔데 한국 무역에 중요하다요?!easy한의 실시간 경제 이슈 2024. 4. 21. 18:30
더 바쁜 사람들을 위한 요약: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급속히 성장하는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어요.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도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의 필요성을 인지해야 합니다.
글로벌 사우스, 새로운 시장의 중심
미중의 전략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어요.
인도, 멕시코, 인도네시아, 브라질 같은 나라들이 이 중심에 서 있죠.
이 나라들은 경제적으로 크고,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어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기업들에게도 큰 기회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 ※글로벌 사우스 (Global South)
북반구의 선진국인 '글로벌 노스'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아시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의 신흥 개발도상국을 포함합니다. 이 지역들은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나라들로, 세계 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최근 미중 전략 경쟁과 공급망 재편이 진행되면서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들 시장은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하며, 세계 경제의 발전을 이끌어나가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한국 기업, 글로벌 사우스 시장에 어떻게 대응할까?
한국 기업들도 이렇게 중요한 시장을 놓칠 수 없겠죠?
한국무역협회는 이들 국가와의 교역을 늘리고 신규 시장을 찾아나서야 한다고 말하고 있어요.
특히 인도나 인도네시아, 멕시코 같은 곳에서는 이미 중국과 일본과의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답니다.
전략1.수출시장 다변화: 글로벌 사우스와의 경제 파트너십 강화 한국의 수출은 대부분이 상위 10대 시장에 집중되어 있어, 다양한 시장에서의 경제적 기회를 놓치고 있습니다.
특히 인도와 인도네시아, 브라질의 생산비용 저렴화와 중국의 자원 무기화를 고려할 때,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은 수출 다변화에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전략2. 투자진출국 확대: 글로벌 사우스의 성장잠재력에 주목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높은 경제성장률과 젊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한국은 이러한 잠재력을 기반으로 인도의 반도체와 스타트업, 인도네시아의 무선통신기기와 인프라, 멕시코의 기계류와 자동차 부품, 브라질의 농산업과 ICT 분야에서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전략3. 다자 협력 강화: 글로벌 사우스와의 다양한 협력 추진 글로벌 사우스와의 교역과 투자 확대에 주력하면서, 한국은 다자 협력을 통한 경제협력 채널을 확장하고자 합니다. 중국과의 다자 협력 활동을 모범으로 삼아, 글로벌 사우스와의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여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비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해요
그런데 브라질에서는 한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네요.
이런 상황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다양한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무역협회는 다자간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답니다.
이지한이 말아주는 쉽고 빠른 1분 경제공부
이지한의 Easy한 경제! - 1분 경제뉴스 - 경제용어 정리 - 주식이야기
easyhan-economic.tistory.com
지한이가 말아주는 경제상식 그저 드시기만 해주세요.
*해당 포스트는 기사를 바탕으로 재 구성되었습니다.
기사 보러 가기자료참고: 한국 무역협회
#한국무역협회 #글로벌사우스 #무역경쟁 #인도 #멕시코 #인도네시아 #브라질 #수출경합도 #공급망재편 #다자협력
'easy한의 실시간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 기업경제뉴스 | 현대가 한국에서 빠지는건 뭔 소리냐 ㅋㅋ (2) 2025.04.03 easy한 경제이슈 | 중국으로 빠지는 인재와 기술들,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5) 2025.04.02 1분 경제 |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 미국을 흔드는 우당탕탕 이슈 정리! (1) 2025.04.01 easy한 경제이슈 | 2025 국민연금 개혁, 왜 난리인가? (3) 2025.03.31 1분 경제 ㅣ글로벌 빅테크, 한국에서의 '진짜' 수익은 얼마일까? (1) 202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