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정리] 자산, 예금, 채권, 주식, 부동산easy 한 경제용어공부 2024. 12. 27. 15:40
예, 이지한입니다.
오늘은 경제 공부에서 빠질 수 없는 자산의 종류와 각 자산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주식이 좋다", "부동산에 투자해라", "예금이 제일 안전하다" 같은 말을 자주 들어요.
영어단어를 암기할 때도, 하루종일 종이를 들고 다니며 공부하는 친구, 빽빽하게 써 내려가며 외우는 친구가 있죠?
어떤 자산이 나에게 맞는지 알기 위해서는, 각각의 특징과 투자 목적을 명확히 이해해야 된답니다.
오늘은 자산과 예금, 채권, 주식, 부동산, 그리고 투자 방식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자, 그럼 이지한 따라 빨로빨로미~
자산이란?
우선 자산이라는 단어의 뜻부터 알아볼게요.자산은 쉽게 말해 돈을 벌거나 가치를 보존해 주는 모든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 우리가 집을 사거나 주식에 투자하면, 그 집이나 주식은 나의 자산이 됩니다.자산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예금, 채권, 주식, 부동산입니다.
이제 이것들이 곧 여러분들의 주요 투자처이자 재산이 되어 줄텐데요,
각각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씩 살펴볼게요.
1. 예금
예금은 우리가 가장 익숙한 자산이에요. 은행에 돈을 맡기면,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자를 조금 받을 수 있죠.
특징:
언제든지 돈을 찾을 수 있어서 유동성이 높아요.
은행이 망하지 않는 한 안전성이 매우 높아요.
하지만 이자가 적어서 수익성은 낮아요.
예금은 투자라기보다는 돈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쓰는 용도로 적합해요.
2. 채권
채권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회사 등이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라고 할 수 있어요.채권을 사면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특징:
유동성은 예금보다 낮아요. 바로 현금화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발행한 국가나 회사가 망하지 않는 한 안전성이 높아요.
예금보다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어요.
하지만 금리가 변하면 채권 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으니, 금리 변화를 잘 살펴야 해요.
3. 주식
주식은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것을 뜻해요.주식을 산 사람을 "주주"라고 부르며,
주주는 기업이 이익을 낼 때 배당을 받을 수도 있고,
회사의 중요한 결정에 투표할 권리도 얻어요.
특징:
대부분 3일 안에 팔아서 돈으로 바꿀 수 있어서 유동성이 높아요.
하지만 기업의 주가가 떨어지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어 안전성은 낮아요.
반면, 성공한 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다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어요.
4. 부동산
부동산은 땅, 건물, 아파트 등 움직이지 않는 자산을 말해요.부동산은 단순히 재산으로 보관할 수도 있고, 직접 사용하거나 임대료를 받을 수도 있어요.
특징: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가격으로 팔기 어려워서 유동성이 낮아요.
하지만 사용 가치가 높고 안정적인 투자처라서 안전성은 비교적 높아요.
특히, 레버리지(대출)를 이용하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어요.
투자 방식의 차이: 시세차익형 vs 현금흐름형
모든 투자가 같은 방식으로 돈을 버는 건 아니에요. 투자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시세차익형 투자
목적: 자산의 가격이 올라갈 때 큰 차익을 얻는 것.
예시: 성장주 투자, 재개발 아파트, 꼬마빌딩 매입.
특징:
큰돈을 벌 수 있지만, 매달 들어오는 돈은 적거나 없을 수 있어요.
2) 현금흐름형 투자
목적: 매달 일정한 돈이 꾸준히 들어오는 것.
예시: 채권, 배당주, 월세 받는 건물.
특징: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자산 가치가 크게 오르지 않을 수 있어요.
나에게 맞는 투자는?
어떤 투자가 나에게 맞는지는 경험해 보며 찾아야 해요. 처음에는 넓게 공부하며 다양한 자산을 이해한 후, 나중에 한 가지를 깊게 파고드는 것이 좋아요.
투자 시기는 자산 종류에 따라 다르니, 시장 상황도 잘 살펴야 합니다.
투자를 시작하려면 우선 자산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해야 해요.
예금, 채권, 주식, 부동산 등 각각의 자산은 투자 목적과 방식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어요.
다음 게시물은 퍼센트 보는 법, 기저효과를 주의하라! 편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다루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좋아요와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easy 한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공부] 자본주의가 날 공격해 (6) 2024.12.21 [경제용어공부] 돈과 화폐 그리고 역사로 가치 알기 (7) 2024.12.20